https://gibles-deepmind.tistory.com/9
[통계학] 다중공선성에 대한 고찰 - 해석과 모델 성능의 관점에서
1. 어디로 가야하오? 다중공선성을 만난 우리들 본 글에서는 "어디로 가야하오" 에 담긴 두 가지 의미를 다룰 것이다. 다중공선성을 꼭 파악해야하는가? 반드시 해결해야하는 문제인가? 글 개요
gibles-deepmind.tistory.com
일전에 다중공선성에 대해서 다룬적이 있었다. 보통, 다중공선성을 VIF를 통해 판단하고는 하는데 VIF는 1/(1-
여기서,
여기서, (1-
여기서 부터는 내 개인적인 뇌피셜이다. 앞선, 사례를 한번 더 들고와보자.
X4를 종속변인(Y)라 생각하고 X1, X2, X3를 각각 독립변인이라고 했을 때
이때,
어쨌든, tolerance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해석의 용이성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.
Ref.
https://onlinelibrary.wiley.com/doi/10.1002/9781118445112.stat06593
'딥상어동의 딥한 통계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분포를 살펴보는 이유 (0) | 2022.06.25 |
---|---|
두번 빼면 인과 효과가 보이는 이유 - 이중차분법(Difference in Difference) (0) | 2022.04.22 |
내생 변수(endogenous variable) - 하늘 아래 태양은 하나다. (0) | 2022.04.15 |
[큰 수의 법칙] - 파이썬 동전던지기로 실험해보기 (0) | 2022.03.21 |
[통계학] 다중공선성에 대한 고찰 - 해석과 모델 성능의 관점에서 (3) | 2020.11.08 |
제 블로그에 와주셔서 감사합니다! 다들 오늘 하루도 좋은 일 있으시길~~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